수미네 반찬 3회(2018년 6월 20일 3화)에서 정말 엄청난 요리가 나왔다.
김수미하면 떠오르는 그 음식! 바로, 간장게장이다.
김수미 간장게장 담그는법을 아래에서 확인해보자.
< 간장게장 담그기 >
이번 요리에 필요한 재료는 꽃게, 물, 황기, 마른 표고버섯, 다시마, 통생강, 통마늘, 대추, 대파 뿌리, 양파, 사과,
월계수잎, 마른 홍고추, 국물용 멸치, 디포리(밴댕이), 고추씨, 통후추, 간장, 매실액, 소주, 사이다,
홍고추, 청고추, 통깨 등이다.
이번 요리는 꽃게 2마리 기준이다.
꽃게는 크기가 다른데, 3~4마리가 1kg 정도 되는 것은 시장이나 마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같다.
냄비에 물 2.5리터를 넣어준다.
여기에 황기 4뿌리 건 표고버섯 6개, 다시마 5장, 통생강 2개, 통마늘 9개, 대파 뿌리 2개,
월계수잎 6장, 대추 5개, 통양파 1개, 사과 1개, 마른 홍고추 10개를 넣는다.
양파는 껍질을 까고 통째로 사용한다.
사과는 껍질을 까지 않은채로 반으로 잘라서 사용한다.
건 홍고추가 없으면 일반 홍고추를 사용해도 된다고 한다.
이 상태로 뚜껑을 닫고 센불로 30분동안 끓여준다.
냄비에 너무 한가득 채워넣고 뚜껑을 닫은채로 센불로 끓이면 넘칠 수도 있으니
어느정도 공간의 여유는 두는게 좋다.
30분 정도 지난 뒤에 중불로 30분 더 끓여준다.
재료들이 흐물흐물해지면, 육수용 멸치와 밴댕이(디포리)를 넣어준다.
밴댕이는 8마리 정도 넣고, 멸치는 밴댕이랑 비슷한 양을 넣는다.
고추씨 2큰술과 통후추 1작은술을 추가한다.
약불에서 20분 정도 더 끓여준다
.
20분이 지난 뒤 멸치와 밴댕이는 건져낸다.
여기에 양조간장 300미리리터를 넣은 후 중불로 살짝 더 끓인다.
여기서 간을 보는데, 간이 조금 싱겁다 싶으면 간장을 조금 더 추가해도 된다.
불을 끈 뒤 매실액 2큰술과 사이다 2큰술, 소주 1큰술을 넣고 섞어준다.
반드시, 불을 끈 상태에서 식기 전에 넣어야 한다.
완성된 국물을 면포나 체에 밭쳐 건더기를 걸러낸다.
국물은 완전히 차갑게 식혀준다.
그릇에 꽃게를 넣는데, 배가 위로 향하도록 뒤집어서 넣어준다.
그리고 그 위에 국물을 부어준다.
다리 끝부분 정도는 괜찮은데, 몸통은 완전히 잠기도록 국물을 넣어야 한다.
여름철에는 상온에 두면 금방 상한다.
반드시 냉장고에 넣어서 보관한다.
3일 정도 숙성한 뒤에 국물만 따로 빼내서 냄비에 넣고 팔팔 끓여준다.
그리고 다시 한번 더 식혀준다.
차갑게 식은 국물을 다시 게에 부어준다.
또 다시 3~4일 정도 냉동 보관해주면 간장게장이 완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