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17일
복음 마태 1,1-17
1 다윗의 자손이시며 아브라함의 자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
2 아브라함은 이사악을 낳고 이사악은 야곱을 낳았으며 야곱은 유다와 그 형제들을 낳았다. 3 유다는 타마르에게서 페레츠와 제라를 낳고 페레츠는 헤츠론을 낳았으며 헤츠론은 람을 낳았다. 4 람은 암미나답을 낳고 암미나답은 나흐손을 낳았으며 나흐손은 살몬을 낳았다. 5 살몬은 라합에게서 보아즈를 낳고 보아즈는 룻에게서 오벳을 낳았다. 오벳은 이사이를 낳고 6 이사이는 다윗 임금을 낳았다.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 솔로몬을 낳고, 7 솔로몬은 르하브암을 낳았으며 르하브암은 아비야를 낳고 아비야는 아삽을 낳았다. 8 아삽은 여호사팟을 낳고 여호사팟은 여호람을 낳았으며 여호람은 우찌야를 낳았다. 9 우찌야는 요탐을 낳고 요탐은 아하즈를 낳았으며 아하즈는 히즈키야를 낳았다. 10 히즈키야는 므나쎄를 낳고 므나쎄는 아몬을 낳았으며 아몬은 요시야를 낳았다. 11 요시야는 바빌론 유배 때에 여호야킨과 그 동생들을 낳았다.
12 바빌론 유배 뒤에 여호야킨은 스알티엘을 낳고 스알티엘은 즈루빠벨을 낳았다. 13 즈루빠벨은 아비훗을 낳고 아비훗은 엘야킴을 낳았으며 엘야킴은 아조르를 낳았다. 14 아조르는 차독을 낳고 차독은 아킴을 낳았으며 아킴은 엘리웃을 낳았다. 15 엘리웃은 엘아자르를 낳고 엘아자르는 마탄을 낳았으며 마탄은 야곱을 낳았다. 16 야곱은 마리아의 남편 요셉을 낳았는데, 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고 불리는 예수님께서 태어나셨다.
17 그리하여 이 모든 세대의 수는 아브라함부터 다윗까지가 십사 대이고, 다윗부터 바빌론 유배까지가 십사 대이며, 바빌론 유배부터 그리스도까지가 십사 대이다.
친구가 비를 맞고 걸어간다면 어떻게 해야 참된 우정을 주는 친구라고 할 수 있을까요?
1) 내 우산을 비 맞는 친구에게 주고 나는 비를 맞으며 걷는다.
2) 빨리 우산을 사서 비 맞는 친구에게 건넨다.
3) 내 우산을 버리고 친구와 함께 비를 맞으며 걸어간다.
아마 대부분 3번을 선택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질문을 보고서 저 역시 3번을 선택했다가, ‘내 우산을 함께 쓴다.’라는 답은 왜 없을까 싶었습니다. 만약 작은 우산이라 둘이 쓰기 힘들어도, 그래서 쫄딱 비에 젖어도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사실은 함께 한다는 것입니다. 누군가 어렵고 힘들 때 함께 할 때만 참된 우정을 주는 친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손해를 인정하지 못하는 요즘입니다. 내 것을 먼저 채우고 난 뒤에 남에게 베푸는 것을 당연한 것처럼 생각합니다. 그러나 정답이 아닙니다. 참된 우정을 만들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원래 함께 살았습니다. 동물들에 비해 약한 존재라서 자신을 지키기 위해 늘 무리를 지어 살았습니다. 혼자 낙오되면 각종 위험에 공격을 받아 죽음으로 이어졌던 공포가 유전자에 기억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외롭다’는 ‘죽는다’에서 파생한 언어라고 합니다. 실제로 외로움의 공포와 죽음의 공포는 같은 무게라고 합니다.
참된 우정은 함께입니다. 이것이 서로를 살리는 길이었습니다.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 이 땅에 오신 주님을 떠올려 보십시오. 단순히 하느님의 모습만 보이지 않았습니다. 즉, 신성만을 가지고서 사람들에게 전지전능하신 당신의 힘을 드러내지 않았습니다. 이를 오늘 복음을 통해서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의 족보를 볼 수 있습니다. 마태오 복음을 시작하면서 왜 예수님의 족보를 위치시켰을까요? 예수님께서 참인간이심을 보여주기 위한 것입니다. 우리의 단 한 명도 제외 없는 구원을 위해서는 우리와 함께해야만 했던 것입니다. 당신 스스로 그리고 당신이 먼저 참된 우정을 주는 친구가 되신 것입니다.
주님의 사랑이 얼마나 큰지를 마태오 복음은 첫 시작부터 족보를 통해 제시해 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그 사랑에 어떻게 응답해야 할까요? 우리 역시 주님의 뜻에 맞춰서 사랑하며 살아야 합니다. 참된 우정으로 다가오시는 주님과 함께해야 합니다.
두려움에 맞서는 것, 그것이 용기다.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는 것, 그것은 어리석음이다(토드 벨메르).
원주교구 성지, 배론 성지 성당
아프던 배가 순식간에 낫는 비결.
어떤 관광객이 감탄사를 연발하며 나이아가라 폭포의 장관을 구경하다가 목이 말라 폭포의 물을 떠서 마셨습니다. 그런데 폭포 옆에 ‘포이즌(POISON)’이라고 쓰여 있는 팻말이 있는 것입니다. 이 팻말을 보자마자, 배가 슬슬 아파지기 시작했고 잠시 뒤에는 창자가 녹아내리는 것 같은 아픔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동료들과 함께 급히 병원에 달려가서 자초지종을 이야기하고 살려달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상황을 전해 들은 의사는 껄껄 웃으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입니다.
“포이즌은 영어로는 독이지만 프랑스어로는 낚시 금지라는 뜻입니다. 별 이상이 없을 테니 돌아가셔도 됩니다.”
의사의 이 말을 듣자마자, 그렇게 아팠던 배가 어떻게 되었을까요? 창자가 녹아내리는 것 같은 아픔이 말끔히 사라졌습니다.
이 이야기를 통해 말 한마디의 중요성을 생각하게 됩니다. 말 한마디에 사람이 죽고 또 살 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그리고 그 말을 어떻게 믿느냐도 중요합니다. 부정적으로 믿으면 부정적인 결과가, 긍정적으로 믿으면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입니다.
원주교구 성지, 배론 성지 최양업 신부님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