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빠다킹 신부

2020년 6월 20일 티 없이 깨끗하신 성모 성심 기념일

복음 루카 2,41-51

41 예수님의 부모는 해마다 파스카 축제 때면 예루살렘으로 가곤 하였다. 42 예수님이 열두 살 되던 해에도 이 축제 관습에 따라 그리로 올라갔다. 
43 그런데 축제 기간이 끝나고 돌아갈 때에 소년 예수님은 예루살렘에 그대로 남았다. 그의 부모는 그것도 모르고, 44 일행 가운데에 있으려니 여기며 하룻길을 갔다. 그런 다음에야 친척들과 친지들 사이에서 찾아보았지만, 45 찾아내지 못하였다. 그래서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그를 찾아다녔다.
46 사흘 뒤에야 성전에서 그를 찾아냈는데, 그는 율법 교사들 가운데에 앉아 그들의 말을 듣기도 하고 그들에게 묻기도 하고 있었다. 47 그의 말을 듣는 이들은 모두 그의 슬기로운 답변에 경탄하였다. 
48 예수님의 부모는 그를 보고 무척 놀랐다. 예수님의 어머니가 “얘야, 우리에게 왜 이렇게 하였느냐? 네 아버지와 내가 너를 애타게 찾았단다.” 하자, 49 그가 부모에게 말하였다. “왜 저를 찾으셨습니까? 저는 제 아버지의 집에 있어야 하는 줄을 모르셨습니까?” 50 그러나 그들은 예수님이 한 말을 알아듣지 못하였다.
51 예수님은 부모와 함께 나자렛으로 내려가, 그들에게 순종하며 지냈다. 그의 어머니는 이 모든 일을 마음속에 간직하였다.


신학생 때 교수 신부님 중에서 강의 내용이 너무 어려운 분이 있었습니다. 도대체 무슨 말씀인지 알아듣기가 힘들어서 공부 잘하는 친구에게 설명을 부탁하곤 했지요. 친구의 설명을 들으니 그렇게 어려운 내용도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신부님의 강의를 들으면 쉬운 내용도 어렵게만 들렸습니다. 

그렇다면 이 신부님은 우리를 골탕 먹이려고 부러 어렵게 말씀하신 것일까요? 나중에 신부가 되어 이 신부님을 우연히 만날 수가 있었고, 이 자리에서 신학생 때 신부님 과목 때문에 너무 힘들었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러자 은사 신부님께서는 두 눈이 커지면서 “왜?”라고 반문하시는 것입니다. 당신은 최대한 쉽게 풀이했다고 하시더군요. 

신학생들을 힘들게 하려고 일부러 어렵게 말씀하신 것이 아니었습니다. 이분은 쉽게 말하는 것이 힘들 뿐이었습니다. 그런데 당시에는 일부러 어렵게 가르치신다고 생각하면서 부정적인 마음을 갖기도 했습니다. 

우리는 종종 남에 대해 자신의 잣대를 내세워서 판단하곤 합니다. 그리고 그 판단이 부정적이었을 때는 자신의 반대편에 그 사람을 놓기도 합니다. 그러나 내 잣대보다 상대방의 잣대로 바라봐야 온전히 이해할 수가 있습니다. 주님에 대해서도 자기 잣대만을 내세웠기에 반대했고 십자가에 못 박았던 것이 아닙니까? 상대방의 잣대, 무엇보다도 주님이라는 기준의 잣대가 우리 안에 필요합니다. 

이렇게 자신의 잣대를 절대로 내세우지 않았던 분이 바로 성모님이십니다. 

예수님과 성모님 그리고 요셉 성인은 관습에 따라 파스카 축제 때에 예루살렘에 올라가십니다. 그런데 축제가 끝나고 다시 돌아가다가 당시 열두 살이던 예수님이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리고 사흘 만에 성전에 율법 교사들과 토론하고 있는 예수님을 찾게 되었습니다. 자식을 잃어버린 부모의 마음을 생각해보십시오. 성모님과 요셉 성인의 마음이 얼마나 새카맣게 변했겠습니까? 

더군다나 “얘야, 우리에게 왜 이렇게 하였느냐? 네 아버지와 내가 너를 애타게 찾았단다.”라고 말씀하셨을 때, “왜 저를 찾으셨습니까? 저는 제 아버지의 집에 있어야 하는 줄을 모르셨습니까?”라는 예수님의 말씀에 화가 날 만도 하지 않았을까요? 

물론 아버지 하느님과 함께 하는 영원하신 당신의 권능과 영광을 말씀하신 것이지만, 아직 성모님께서는 이런 권능과 영광을 알아채기는 부족한 상태였습니다. 하지만 성모님께서는 자신의 잣대를 세워서 예수님을 나무라지 않으십니다. 이를 성경은 ‘그의 어머니는 이 모든 일을 마음속에 간직하였다’라고 표현합니다. 

끝까지 하느님 기준의 잣대를 간직했던 성모님의 마음, 이렇게 티 없이 깨끗하신 성모님의 마음을 기억하고 우리 마음에 간직해야 합니다.

 

우리 인생의 옷감은 선과 악이 뒤섞인 실로 짜여진 것이다(셰익스피어).

티 없이 깨끗하신 성모 성심. 

하느님의 은총이 아닌 것이 없습니다. 


사람들은 제 머리가 상당히 좋다고 생각합니다. 강의와 미사 강론 때 원고를 전혀 보지 않는 모습 때문입니다. 절대로 아니라고 말씀드리면, 원고를 모두 외워서 하는 것을 보면 좋은 것이 분명하다며 지나친 겸손은 교만이라는 말씀까지 하십니다. 물론 아주 돌머리는 아니겠지만 그렇다고 썩 좋은 편은 아닙니다. 

원고를 외우게 된 것은 저의 ‘눈’ 때문에 그렇습니다. 사실 원고가 잘 보이지 않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컴퓨터를 많이 해서인지 노안이 일찍 찾아왔습니다. 그래서 집중하지 않으면 글씨 읽기가 쉽지 않은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외울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계속 외우려고 노력하다 보니 외우는 요령도 생기고, 말을 하는데 여유가 생긴 것입니다. 

잘 보이지 않는 눈이 단점이라 생각했는데 오히려 저를 성장시켜주는 장점이 된 것입니다. 일찍 찾아온 노안 역시 하느님의 놀라운 은총이 아닐 수 없습니다. 

단점이라 생각하는 것들, 고통과 시련들. 이것들이 제발 내게 오지 않았으면 하는 것은 그것 자체에 매여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 안에서도 의미를 찾으려고 애쓰고, 그 안에서 또 다른 장점을 찾게 된다면 이것 자체를 넘어서는 하느님의 손길을 발견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하느님의 은총이 아닌 것이 없습니다. 

성모님의 마음을 기억하고 우리 마음에 간직합시다.